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111년 전 침몰한 여객선 타이태닉호를 찾아 잠수정을 타고 심해로 향했던 관광객들, 끝내 살아 돌아오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일반인들은 엄두도 내지못할 거금을 내고선 굳이 목숨까지 걸고 위험을 찾아 여행하는 이유는 뭔지 궁금합니다. <br> <br>누구도 느껴보지 못한 특별한 모험을 원하는 부자들만의 아찔하고 은밀한 여행, 세계를 보다, 김성규 기자가 소개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“맙소사!” <br> <br> 철창을 비집고 들어간 백상아리가 몸부림치고놀란 관광객들이 소리를 칩니다. <br><br>[현장음] <br>“설마 사람이 (철창) 안에 있는 건가?” <br> <br> 피를 흘리는 백상아리가 빠져 나오고 아수라장이 됐던 현장도 겨우 진정됩니다. <br> <br> 세계에서 가장 큰 포식성 어류인 백상아리를 눈앞에서 볼 수 있는 멕시코 관광 상품입니다. <br> <br>이글거리는 용암을 보러 뉴질랜드의 활화산을 찾은 사람들. <br><br> 화산 폭발 징후가 보이자 급히 대피령이 내려집니다. <br> <br>[현장음] <br>“안으로 들어가세요! 안으로 들어가요!” “무서워.” “여기서 벗어나자, 맙소사.” <br> <br>수심 4000m에서 잠든 타이태닉호의 잔해를 보러잠수정을 타고 떠났다 끝내 돌아오지 못한 5명.<br><br>[존 모거 / 미국 해안경비대 소장] <br>"발견된 잔해물로 보면, 잠수정에서 비극적인 폭발이 발생한 걸로 보입니다." <br> <br> 인간의 발길이 닿기 힘든 심해에서 역사적인 장소를 두 눈으로 목격할 수 있어 초부유층을 겨냥했습니다. <br> <br>이런 여행 프로그램들은 전문 기술과 고급 인력이 동원됩니다. <br> <br>극소수만 즐길 수 있어 일반인들이 감당하기 어려울 정도로 비싼 가격이 특징입니다.<br><br> 타이태닉 관광상품은 한 사람당 3억4천만원을 넘고 쇄빙선과 헬리콥터가 투입되는 남극점 항해 상품 가격도 1억3000만 원에 달합니다. <br><br> 평범한 여행에 만족하지 못하는 일부 갑부들이 목숨이 위협받을 정도로 극단적인 장소에서 위험을 무릅쓴 활동을 즐기는 겁니다. <br> <br>일부 부호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 상품은 우주선에 몸을 실어 짧은 시간 우주 무중력을 체험하는 것. <br> <br>[마리오 페레이라 / 포르투갈 기업인(블루오리진 6차 참가자)] <br>“저는 그동안 세계 대부분을 다녔습니다. 그리고 우주에 간 첫 번째 포르투갈인이 될 겁니다.” <br> <br>6번 우주 여행을 진행한 '블루오리진'의 탑승자들은 창업자 베이조스 형제와 유명 개인투자자, 부동산 개발자 등이었습니다. <br><br>지난 2001년 국제우주정거장을 다녀온 미국 억만장자가 우주체험에 지불한 돈은 2600억 원에 달했지만 민간 우주여행이 시작되면서 6억 원으로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 부호들 사이에서 유행처럼 번지는 은밀한 사치에는 명과 암이 공존한다는 분석도 나옵니다. <br> <br>[김형곤 / 세종대 호텔관광경영학 교수] <br>“기술의 발전에 기여하는 부분도 있고 새로운 시장을 확대하는 기여도가 있을 수 있겠죠. 대신 상대적 박탈감을 야기 시킬 우려가 있고, 인명피해(도 잇따를 수 있습니다.)” <br> <br> 위험을 즐기려는 그들만의 극한 모험에 대한 욕구. <br> <br> 인간 활동 영역을 넓혀준다는 긍정 평가와 쾌감에 탐닉하는 사치라는 비난이 엇갈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세계를보다, 김성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이승훈 <br>영상편집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성규 기자 sunggyu@ichannela.com